티스토리 뷰
메타 디스크립션: 두산에너빌리티의 2025-2026년 주가 전망을 분석합니다. 원자력 및 가스발전 사업 확대, 수주 증가, 영업이익 개선 등 긍정적 요인과 함께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 등 리스크 요소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중요 포인트를 제시합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현황 및 실적 분석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전반적으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주가는 지난 1년 동안 83.5% 상승했으며, 최근 1개월간도 29.7% 오르는 등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원자력 및 가스발전 사업의 성장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 4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연결 매출액은 4.6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2,349억 원으로 컨센서스(2,160억 원)를 9% 상회하며 20.8% 감소에 그쳤습니다. 특히 에너빌리티 부문은 영업이익 630억 원(+26.8%)을 기록하며 회사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4분기 신규 수주 금액은 4.0조 원으로, 연간 목표(6.3조 원)를 초과 달성한 7.1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 자세히보기 👇👇
2025년 두산에너빌리티 사업 전망
수주 목표 및 성장 전략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 수주 목표를 10.7조 원으로 설정했으며, 일부 증권사에서는 이보다 높은 11.1조 원(+4조 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주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자력 수주: 4.9조 원(대형 원전 3.8조 원, SMR 0.5조 원 포함)
- 가스·수소 수주: 3.4조 원(가스발전 주기기 0.6조 원 포함)
특히 체코 원전 수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며, 웨스팅하우스와의 협력 하에 일부 주기기 수주도 예상되고 있어 총 원자력 부문 수주는 5.7~5.8조 원 규모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매출 및 영업이익 전망
2025년 두산에너빌리티의 매출액은 6.50조 원으로 전년 대비 11.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업이익은 3,659억 원으로 50.2%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석탄 및 담수화 사업에서의 저마진 공사 감소와 함께, 고수익성이 예상되는 원자력 및 가스발전 기자재 수주 증가가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KB증권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올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을 1조2000억원으로 예상하며, 에너빌리티 부문은 3656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각각 16.7%, 50.1%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2025-2026)
2025년 월별 주가 예측
2025년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면서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월별 예측을 살펴보면:
- 1월: 시작가 24,222원, 최고가 26,088원, 최저가 24,222원, 월말 25,576원
- 2월: 시작가 25,576원, 최고가 25,576원, 최저가 24,245원, 월말 24,740원
- 3월: 시작가 24,740원, 최고가 26,276원, 최저가 24,740원, 월말 25,761원
- 4월: 시작가 25,761원, 최고가 29,810원, 최저가 25,761원, 월말 29,225원
- 5월: 시작가 29,225원, 최고가 29,225원, 최저가 23,463원, 월말 23,942원
2025년 상반기에는 특히 4월에 최고가 29,810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후 조정을 거치면서 하반기에는 다시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6년 주가 전망
2026년에는 전반적으로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1월: 시작가 24,081원, 최고가 27,204원, 최저가 24,081원, 월말 26,671원
- 4월: 시작가 24,916원, 최고가 27,195원, 최저가 24,916원, 월말 26,662원
- 7월: 시작가 28,648원, 최고가 30,544원, 최저가 28,648원, 월말 29,945원
2026년 7월에는 30,000원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원자력 및 가스발전 사업에서의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증권사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
목표주가 상향 조정
최근 원자력 및 가스발전 수주의 증가와 실적 개선 가능성을 반영하여, 여러 증권사들은 두산에너빌리티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 KB증권: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4,000원
- 대신증권: 목표주가 35,000원(기존 30,000원에서 상향 조정)
- 기타 증권사: A증권사 25,000원, B증권사 23,500원, C증권사 24,000원
대신증권의 목표주가 35,000원은 현재 주가 대비 24.1%의 상승 여력을 의미하며, 이는 2025년 예상되는 실적 개선과 수주 증가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투자 포인트 및 리스크 요인
투자 매력 포인트
- 원자력 사업 확대: K-원전 및 SMR(소형모듈원자로) 사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가스발전 기술력: 국산화에 성공한 가스터빈 기술로 '2024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선정
- 수소 사업 진출: H급 수소터빈 개발 진행 중,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에 따른 수혜 예상
- 글로벌 프로젝트 참여: 이집트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미국 뉴스케일파워와의 SMR 기자재 공급 계약(약 1조 원 규모)
- 수익성 개선: 원자력 기자재와 가스발전 관련 매출 비중 증가로 수익성 개선 전망
리스크 요인
-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 시도 재개에 따른 불확실성 존재
- 유럽 원전 프로젝트 불확실성: 체코 등 유럽 원전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에 따른 변동성
- 환율 리스크: 글로벌 사업 확대에 따른 환율 변동 위험
- 원자재 가격 변동: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가능성
- 정책 변화: 각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른 사업 환경 변화 가능성
결론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 SMR, 가스발전 등 차세대 에너지 사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2025년에도 강한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중장기적인 성장성을 고려할 때 긍정적인 투자 매력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 유럽 원전 프로젝트의 불확실성,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의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투자자들은 주요 수주 성과와 글로벌 시장 환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한 투자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주가가 30,000원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30,000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중장기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으나, 단기적인 변동성에 대비한 분산 투자와 적절한 매수 시점 선택이 중요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두산에너빌리티의 주요 사업 분야는 무엇인가요?
A: 두산에너빌리티의 주요 사업 분야는 원자력 발전, 가스발전, 수소 에너지, 해수담수화 등 에너지 및 플랜트 관련 사업입니다. 특히 원자력 기자재와 가스터빈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Q: 2025년 두산에너빌리티의 실적 전망은 어떤가요?
A: 2025년 두산에너빌리티의 매출액은 6.50조 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업이익은 3,659억 원으로 50.2%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고수익성이 예상되는 원자력 및 가스발전 기자재 수주 증가가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Q: 두산에너빌리티의 주요 경쟁사는 어디인가요?
A: 국내에서는 한전기술(원자력 발전소 설계 및 시공), 현대건설(원자력 발전소 시공), 삼성물산(원자력 발전소 시공), 삼성엔지니어링 등이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지멘스(Siemens), GE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Q: 두산에너빌리티 투자 시 주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가요?
A: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에 따른 불확실성, 유럽 원전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환율 변동, 원자재 가격 상승, 각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 결정이 필요합니다.
Q: 두산에너빌리티의 SMR(소형모듈원자로) 사업 전망은 어떤가요?
A: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SMR 기자재 공급 계약(약 1조 원 규모)을 체결하는 등 SMR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원자력 발전의 재평가로 인해 SMR 사업 전망은 긍정적이며, 2025년에는 본격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